Manna 24

김현식 북한출신 언어학자의 열정이 낳은 북한말 예수후편(신약) 출간

Print Friendly, PDF & Email

 

워싱턴 근교에 위치한 평양성경연구소(Pyongyang Bible Institute, PBI)는 영어·평양말 대역성경 예수후편(신약)을 출간했다.

PBI는 북한 사람들이 읽고 이해 할 수 있는 평양말로 된 성경을 쓰자는 사명으로 하버드, 예일 등에 유학 온 한인학생들로 구성된 비영리법인으로 학생들이 합숙하며 평양말 신약성경 번역에 참여했다. 그 결과 지난 8월 말 서울의 홍성사에서 출간했다. 이 책의 번역과 심의 책임자는 김현식 교수(언어학)다.

PBI와 김현식 교수는 한반도 분단 근 70년 사이 북한의 말과 글에서 많은 변화가 생겼다. 지금의 상황은 남한의 성경을 북한 사람들이 읽어도 그 뜻을 알 수 없다는 것을 알고 번역작업을 시작했다. 북한에서는1960년 시작된 언어혁명에 의하여 말과 글에서 어려운 한자어와 외래어가 평양말로 다듬어졌다. 그리하여 북한의 모든 출판물들에서 한자는 한 글자도 찾아 볼 수 없고 심지어 사람들의 이름자도 한자로 쓰지 않는다. 또한 말과 글에서 외래어는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됐다.

이번에 번역 출판된 영어·평양말 대역성경은 The NLT Bible (New Living Translation, 2011년판)을 평양말로 번역한 것이다. PBI는 2014년 2월에 이 책의 저작권 소유기관인 미국 Tyndale House Publishers 로부터 The NLT Bible에 대한 번역저작권을 받았다. PBI에서는 영어성경 The NLT Bible을 평양말로 번역함에 앞서 그 기초닦기와 준비작업을 착실히 진행했다.

우선 10년 년간의 시간을 들여 성경에서 나오는 인물 25명을 뽑아 그들에 대한 이야기를 <남과 북이 함께 읽는 성경이야기>라는 제목의 3부작으로 된 책으로 썼다. 이 책은 평양말로 된 글을 영어로 번역한 것이다.

이어 13년 간의 연구 끝에 남과 북의 말과 글의 차이를 밝힌 <남북 통일말사전>도 출판했다. 이 사전에는 북한 사람들이 모르는 남한 말과 남한 사람들이 모르는 북한 말을 모두 모아 그 뜻을 밝혔다. 이런 선행 연구와 출판으로 영어 The NLT Bible을 평양말로 번역하는 일이 순조롭게 진행됐다.

<하나님의 약속>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판되는 영어·평양말 대역성경은 구약인 <예수 전편>과 신약인 <예수 후편>으로 나눠진다.

이번 영어·평양말 대역성경의 번역은 의역이 아닌 직역으로 되어 있어 러시아말을 배운 많은 북한 사람들이 이 책으로 성경내용을 파악하고 영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번역작업에 정확성과 과학성을 보장하기 위해 미국 7개 대학 어학, 신학, 법학, 과학 분야의 전문가들과 박사과정 학생들이 대거 참가했다.

이 책의 번역 심의 책임자 김현식 교수(언어학)는 김정일 청소년기 가정교사이자 평양사범대학 러시아어과 과장으로 북한이 국제대회에 러시아에 파견(1988-1991)한 석학이다. 러시아에서 미국인 선교사를 통해 남한의 성경을 접하고 충격을 받았다. 전 세계에서 읽히고 있는 성경책을 북한 언어학자인 자신이 이해 할 수 없었다는 것에 놀랐다. 그 만큼 두 언어에 이질감이 컸다. 그는 북한 사람들도 읽을 수 있는 북한말 성경제작을 결심했다. 1991년 계획을 세우고 1994년부터 집필을 시작해 지난 8월에 완성했다. 꼭 23년만에 완성했다. 그 과정에 김 교수는 지난해 3월과 10월, 올해 6월 뇌졸증으로 세차례 쓰러지고 현재 대화와 거동이 불편하다.

13일 한복무형문화재인 부인 김현자 씨와 김 교수는 기자들을 만났다. 김 교수는 중앙정보부직원으로부터 미국에 거주하던 누나와의 만남을 가진 후 북한당국으로부터 가족이 총살되고 김교수는 한국으로 망명했다. 그는 한국에서 믿음을 회복했다. 김 교수는 15세 때 신실한 신앙인이셨던 어머니가 암으로 세상을 떠나시기 전 ‘목사가 되라’는 유언을 기억했다. 그는 미국 뉴올리언즈 침례신학대학원 연구교수(2001-2002), 예일대학교 신학대 연구교수(2003-2006), 이후 조지메이슨대 연구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김의원 전 총신대총장은 북한 말을 다듬어 서구 언어로 맞게 번역하셨다. 번역이 쉽게 되어 성경을 이해하기 편하다”고 소개했다.

손기성 목사(워싱턴교협회장)는 북한동포들이 언어적 문화적 이질감을 극복하고 복음을 잘 이해하며 아름다운 열매를 맺기 바란다. 통일 후 가장 먼저 북한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복음이고 성경이다 이에 대한 준비를 김 교수님이 하신 것이라고 감사의 말을 전했다.

문의 PBIDC@gmail.com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요 3:16).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John 3:16 NIV)

Latest Articles

국제난민선교회 후원의 밤 행사 “선교의 감동과 은혜 나눔”

박노경 기자

아멘교회, 5-6일 성경 빅 픽처를 보라 저자 직강 세미나

박노경 기자

워싱턴교협 22회 성탄축하 음악예배 “성탄의 주인공은 예수 그리스도”

박노경 기자

No Retire, Only Refire!

류응렬 목사 (와싱톤중앙장로교회)

벧엘 시니어 아카데미 가을학기 종강식 “재미와 의미 그리고 즐거움이 가득한 발표회”

박노경 기자

한미나라사랑기도회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

박노경 기자
error: Content is protected !!